활동소식

부산 에너지 시민 아카데미 2회차 수업으로 <스마트폰의 혁명, 우리는 어디쯤 가고 있는가> 라는 주제로

 모심과 살림연구소 황도근 소장님께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스마트폰은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 우리의 생활 방식과 인간관계를 크게 변화시켰습니다.

특히 코로나 시대를 겪으며 1인 가구가 급증하고, 사람들은 스마트폰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외로움의 시대'가 도래하며, 분노와 혐오가 증가하고 있고, 스마트폰 중독과 디지털 격차는 모든 연령층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지금 이러한 시대의 현상과 해결방안을 강의를 통해 알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참석해주신 분들과 좋은 강의해주신 황도근 소장님께 감사인사드립니다.

 

 

<스마트폰 시대, 지금 우리는 어디쯤 서있는가>

 

 

 

1. 현대 사회와 스마트폰

스마트폰과 코로나 시대를 겪으면서, 우리는 빠르게 1인 사회로 진입했습니다. 원주시의 1인 가구는 40%를 넘었으며, 특히청년들의 1인 가구는 55%에 달합니다.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에 몰두하고 있으며, 인간관계 역시 카카오톡 방이결정짓고 있습니다.

 

2. 외로움의 시대

우리는 '외로움 병'에 시달리고 있으며, 외로움이 분노와 혐오를 유발해 사회를 거칠게 만들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급성장에 따른 격차와 불평등이 갈등과 분열을 가속하고 있습니다. 정치는 이러한 분노와 혐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3. 스마트폰의 사회적 영향

스마트폰 중독은 특히 청소년들에게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유아·아동 26.7%, 청소년 40.1%, 성인 22.8%, 6015.3%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중독 현상은 고령층에게도 치명적이며, '새로운 친구 사귀기''유튜브' 중독은 고령층 건강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4. 경제와 노동

스마트폰과 플랫폼 경제의 부상으로 인해 노동 환경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플랫폼 노동자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1인 가구의 증가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으로 전체 가구의 41%1인 가구이며, 특히 60대 이상 1인 가구가 37.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5. 플랫폼 경제의 부상

세계 스마트폰 보급률은 76%, 한국은 95%의 보급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주요 플랫폼 기업으로는 애플,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등이 있으며, 이들은 거대한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플랫폼 경제는 디지털 격차와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6. 외로움의 경제와 대처 방안

 

외로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좋은 관계를 맺고,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본소득과 기초자산, 디지털 시민권 등 다양한 대응책이 필요합니다. 외로움은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KakaoTalk_20240522_120905321.jpg

 

KakaoTalk_20240522_120905321_06.jpg

 

KakaoTalk_20240522_120905321_1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