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칼럼
 

보도자료

    (약.기후에너지센터)

2012년 4월 12일(목)

 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부산 동구 초량3동 1147-14 국제O/T 1701호 전화:465-0481 팩스:469-0484

www.sunway.or.kr  보도자료 란 참조 / sunway@sunway.or.kr

●사무처장 : 노승조 010-2378-1666

●담    당 : 김민주 010-4571-5862

 

 

부산․경남지역의 녹색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 13일 부산 광장호텔에서 녹색제품 인증기업 및 민간단체와 녹색소비 형성․확산을 위한 MOU 체결

 ◇ 부산녹색구매지원센터를 통해 지역사회 녹색소비 구조로의 전환 촉진



□ (사)기후변화에너지대안센터 부산녹색구매센터는 13일 부산역 광장관광호텔에서부산․경남지역의 녹색소비문화 형성과 확산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이번 협약에는 기후변화에너지대안센터와 부산녹색구매지원센터 공동주관으로 동신제지, 에너지나투라(주), 부산시 어린이집연합회 등 부산․경남지역 소재 13개 녹색제품 인증기업과 4개 관련기업, 10개 민간단체 등 총 29개 기관․기업․단체가 참여한다.

※ 협약 참여기관․기업․단체(29) :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동신제지, 상록수, 유나화장지, 뉴신영, 훈성산업사, 선진물산, 신애직업재활원, 억새마을, 웨그린세제, 유성이앤이, 수퍼크랙실, 부경수도산업, 사이클론, 부산은행, 부산녹색기업협회, 에너지나투라, 에코언니야, 부산건축사협회, 자원순환시민센터, 부산녹색소비자연대,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부산광역시 어린이집연합회, 부산시민센터, 부산여성단체협의회, 부산여성NGO연합회,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05년부터 녹색제품 의구구매제도를 도입하여 공공기관의 녹색제품 의무구매 이행 지원 및 구매 독려를 위한 교육․홍보를 계속적으로 실시한 결과,

 전국적으로 공공부문 녹색제품 구매액이 ‘04년 2,549억원에서 ’10년 16,412억원으로 6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 부산․경남지역의 공공기관 녹색제품 구매액은 ‘10년도에 342억원이었으나 ’11년도에는 15.5%가 증가한 395억원으로 실적 제고를 이룬 바 있다.

□ 공공부문의 녹색제품 의무구매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의 녹색제품 소비활성화를 위하여 ‘11년도에 녹색매장 지정제도와 녹색구매지원센터(소비자 교육·홍보)를 도입하였다.

 녹색매장 지정은 ‘11.11부터 현재까지 00개 매장을 지정하였으며, 부산․경남지역에도 2개 매장(롯데마트 키즈부산점, 롯데마트 창원중앙점)이 지정을 받았다.

  ※ 녹색매장 : 대형 유통매장 중 녹색제품 보급 촉진과 환경친화적인 시설 설치 및 매장운영으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등에 기여하는 매장

색구매지원센터는 본격 시행에 앞서 부산,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시범사업을 추진(‘11년 8월~’12년 4월) 중에 있으며 15년까지 전국에 30개소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 번 협약을 주관한 부산녹색구매지원센터는 ‘11년 8월 환경부부터 녹색구매지원센터 시범사업 위탁받아 수행 중에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관련 제주체는 부산․경남지역의 건전한 녹색소비 문화가 지속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한다.

환경부에서는 정책적인 지원을 하고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부산녹색구매지원센터는 녹색소비 관련 교육과 협력활동 등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13개 녹색제품 인증업체과 4개 관련기업 및 10개 참여단체는 녹색생산과 녹색소비의 주체로서 부산․경남지역이 녹색도시, 친환경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적극 홍보․캠페인에 앞장설 것을 결의할 것이다.

□ 한편, 녹색구매지원센터가 전국으로 확산될 경우 녹색제품 공공기관 의무구매제도가 공공부문 녹색구매를 증가시켰듯 민간부문의 녹색구매 촉진으로 녹색구매 금액을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 "에너지절약 100만 가구 운동+우리동네" 선포식 file 관리자 2019.03.24 230
17 (보도자료)-저탄소 녹색아파트를 만들기 위한 지역주민과의 간담회 및 업무협약 체결- 관리자 2012.05.16 12666
16 (보도자료)2012 녹색소비생활 코디네이터 양성 프로그램 개최 file 관리자 2012.09.11 15077
15 (보도자료)2016 에너지사용 실태조사 및 캠페인 실시 file 관리자 2016.07.14 2994
14 (보도자료)겨울철 피크전력 완화, 부산시민의 힘으로 관리자 2012.05.15 12289
13 (보도자료)기후에너지 전문가로! 그리고 지역그린리더로! 관리자 2012.05.16 13190
» (보도자료)부산․경남지역의 녹색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관리자 2012.05.16 13283
11 (보도자료)부산․경남지역의 녹색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관리자 2012.05.16 13013
10 (보도자료)올여름 높아진 전력수요, 지역주민들 먼저 앞장선다. 관리자 2012.06.12 15120
9 (보도자료)제13회 에너지의날 행사 file 관리자 2016.08.19 3006
8 (보도자료)제2기 가정에너지코디네이터 양성프로그램 수강생모집 관리자 2012.05.16 13351
7 (부산에너지시민연대) 불을끄고별을켰다. file 관리자 2012.08.28 14127
6 (성명서)탄소와 핵을 넘어 지속가능한 생태사회 실현의 결의밝혀 ! 관리자 2012.05.15 13092
5 [공동성명서] 지속가능하고 정의로운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수립을 촉구한다 - 대기업 특혜와 에너지 민영화 확대로 점철된 에너지 기본계획 민관 합동 워킹그룹 권고안 관리자 2013.11.19 8661
4 기후변화에너지대안센터 제7차 정기총회 개최 file 관리자 2013.02.25 10823
3 에너지자립도시를위한 풍력발전 심포지움 개최 file 관리자 2013.03.19 10969
2 저먼워치,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2016 발표 관리자 2015.12.19 3860
1 제1회 한일교류 해양쓰레기 워크숍 IN 부산행사 - 학리기후변화교육센터 방문 file 관리자 2019.01.13 1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