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의 시대를 여는 '기후센터'

2012.05.15 16:50

관리자 조회 수:5060

지금 남반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대홍수가 영화의 한 장면이 아닙니다. 호주의 경우 지난 해 까지만 하더라도 거의 지난 10년 동안 비가 오지 않는 장기 가뭄의 피해를 혹독하게 격었습니다. 그들은 지난해의 대 한발을 ‘천년가뭄’이라고 하였습니다. 호주 제3의 도시 브리즈밴이 주도인 이 지역은 거의 4분의 3이 수몰되었습니다. 브라질, 필리핀, 아프리카 지역등 남반구에서 진행되는 대홍수와 분반구의 큰 한파는 공히 기후변화의 하나의 단면이란 것에 의의가 없습니다. 




 서구 문화는 자연을 인간의 존재에서 격리하고 독립시킴으로서 현대의 가공할 과학기술을 진행시켜왔습니다. 그것을 문명은 나름대로 포장하여 고고한 인간의 가치로서 ‘자유’를 말하곤 하였습니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라는 저 유명한 존재론의 명령은 도저한 자연의 복수 앞에 단지 하나의 유머 정도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그의 생각에 이웃은 없었으며, 그의 깊은 사고에 공동체의 윤리는 가식이었으며, 그의 절대존재의 판단에 결정적으로 자연은 결여되어 있었습니다. 
 아름다운 것이든 더러운 것이든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일에는 에너지의 흐름이 존재합니다. 모든 인간의 역사는 에너지의 무질서의 척도라고 불리우는 엔트로피의 법칙이 관통합니다.  한번 사용된 에너지는 다시 사용될 수 없다는 자명한 사실을 인간들이 언제까지  부정할 수는 없습니다.
 기후변화 에너지 대안센터와 함께 인간과 인간 자연과 공동체가 공감하는 저 엔트로피의 사회를 상상하고 실천하고자 합니다.

 










구자상
/(사)기후변화에너지대안센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 [창간특집] 소외된 90%를 위한 '국경없는 적정기술' - [이투뉴스] 관리자 2015.09.06 2793
29 바닷새 90% 배 안엔 ‘플라스틱 쓰레기’- 경향 관리자 2015.09.04 2744
28 (부산일보)4㎝ 자석이 고리원전 4호기 정지시켜 "2년 전 정비 때 방치 탓" 관리자 2013.04.17 10444
27 (부산일보)'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명칭 '한국원자력환경공단'으로 바뀐다 관리자 2013.04.17 8665
26 (국제신문)'창원솔라타워'새 명소로 관리자 2013.03.25 7810
25 (부산일보)부산시 '폐기물 변천사' 펴낸다 관리자 2013.03.25 7163
24 (국제신문)태국,4월 전력대란 오나 관리자 2013.03.25 7458
23 (부산일보)국제유가 안전판 생기나? "셰일오일" 개발 붐 기후 2013.02.05 9657
22 (국제신문)더 뜨거워지는 지구, 연안도시 생존 위협 기후 2013.02.05 9660
21 2013년 기후변화 에너지 전망과 쟁점 기후 2013.01.31 7336
20 '원전사고' 일본 후쿠시마 10대 女, 첫 암 의심 판정 관리자 2012.11.23 11541
19 (내일신문)발전기 고장 급증.. 전력대란 키운다 관리자 2012.11.21 15808
18 (조선비즈)전력예비력 400만,kW대로 급감.. 올 겨울 블랙아웃 우려감 커져 관리자 2012.11.21 12732
17 (부산일보)월성 원전1호기 '설계수명 30년 만료' 경주르포 file 관리자 2012.11.21 12614
16 "고리원전 1호기 재가동, 남겨진 의혹들 " (TV방영) 관리자 2012.09.07 7499
15 (부산일보) 20분 에어컨 끄고 5분 소등.. 발전소 2기 전력 아꼈다. file 관리자 2012.08.28 6943
14 (부산일보)[포토뉴스] "불을 끄고 별을 켭시다" 관리자 2012.08.23 14613
13 (부산일보) 내일 전국 5분간 소등 관리자 2012.08.23 15555
12 (국제신문)기후변화 적응에 도시 미래 달렸다 <1> 부울경 기후변화에 얼마나 취약한가 관리자 2012.06.07 11970
11 (국제신문)김용호 기자의 환경 이야기 <8> 대참사 쓰나미의 역설…모든 것 휩쓸고 생태복원 관리자 2012.06.07 8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