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칼럼
 
(부산일보)덜 쓰고 덜 뱉는 녹색제품 써보셨나요?
 




대구의 한 기업이 생산한 양변기는 지난해 8월 환경마크 인증을 받았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으로부터 '이달의 녹색제품'에 선정도 됐다.

이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물을 덜 쓴다는 점이다. 기존 제품이 8L를 쓰는데 비해 4.5L로 가능하다. 물을 내릴 때 나는 소음도 10㏈로 낮다. 기존 변기의 3분의 1 수준이다.

녹색제품은 에너지를 덜 쓰고, 오염물질 발생을 줄인 제품이다. 정부 차원에서 인증을 해준다. 


기후센터 부산시민 설문 결과 43% "구매 경험 있다"


판매처·다양성 부족 등 문제… 6월 부산센터 오픈


최근 공공 부문에서도 적극적인 소비에 나서면서 녹색제품이 각광을 받고 있다. 제품다양성·판매처 부족, 홍보 등 풀어야 할 과제도 있다.

㈔기후변화에너지대안센터(이하 기후센터) 부산녹색구매지원센터는 지난해 부산 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녹색제품 소비자 인식도' 조사 결과를 13일 공개했다.

녹색제품이란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에 따라 인증이 부여된다. 크게 환경인증마크와 우수재활용인증마크(GR) 제품이 해당된다.

지난해 11월 말 현재 환경마크는 1천632개 업체 7천701개 제품이, 우수재활용마크는 195개 업체 236개 제품이 인증을 받았다. 부산·경남만 놓고 보면 각각 40여 개 업체가 있다.

녹색센터의 설문 조사에서 녹색제품 구매·사용 경험이 있느냐는 물음에 43.2%(216명)가 그렇다고 답했다. 50대 이상, 월 소득 500만 원 이상인 경우에서 비율이 높았다.

제품은 화장지·세제 같은 생활용품이 81.9%로 가장 많았다.

사용 이유에 대해서는 38%가 개인의 건강과 안녕을 꼽았고, 이어 에너지 절약 22.2%, 환경보전 14.4%, 자원 절약 12.5%로 꼽았다.

구매·사용 경험이 없다고 답한 응답자를 분석한 결과 '녹색제품 자체를 모른다'고 답한 경우가 35.6% 가장 많았다. 이어 '판매처 몰라'가 16.9%, '상품 다양성 부족'이 14.4%, '비싼 가격'이 10.2%를 차지했다.

기후센터 노승조 사무처장은 "조사 결과, 녹색제품에 대해 필요성과 중요성은 인정하지만 실천은 미흡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막연히 비싸다, 어디 있는지 모르겠다는 시민들의 인식을 바꾸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

기후센터는 오는 6월께부터 부산녹색구매지원센터를 본격 가동한다. 센터는 지난해 9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지원을 받아 경기도 안산시와 더불어 전국 2곳에 들어섰다.

앞으로 녹색제품 홍보·교육, 네트워크 구축, 매장 운영 등을 맡는다.

녹색제품 공공 구매도 시작된다. 부산시와 구·군청, 지방공사 등에서도 이달 말까지 녹색제품 구매계획을 수립해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제출할 예정이다.
 

김마선 기자 msk@busan.com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 (뉴스핌) 시민 주도 부산형 에너지공공개발 운동 '발진'…탄소중립 정책 견인 file 관리자 2024.06.04 0
30 (부산일보) “고당할미께 허락을 구하나이다”…지속가능 농업 씨 뿌리는 ‘퍼머컬처’ 부산서 시농제 file 관리자 2024.06.04 0
29 바다쓰레기 문제 한국과 일본 함께 고민해요. 관리자 2019.01.16 336
28 부산시교육청, 21일 '학리기후변화교육센터' 개소식...폐교활용 전국 첫 사례2017.04.21 | 국제뉴스 관리자 2017.04.24 2863
27 학리기후변화교육센터가 개소하였습니다.. 관리자 2017.04.22 2379
26 티브로드 서부산방송(2013.3.22(금) 방송영상) 관리자 2013.03.25 9295
25 (국제신문)김용호 기자의 환경 이야기 <21> 부산의 에너지 수급 '플랜 B'는? 관리자 2013.03.25 8450
24 김용호 기자의 환경 이야기 <19> '암 마을' 확산 남의 나라 얘기? 기후 2013.03.05 9302
23 돈도벌고 환경도 살리고..햇빛 농사..(부산일보) 관리자 2013.03.01 9289
22 global green stewards(ggs) - peolpe to green energy file 관리자 2012.11.15 10638
21 (국제신문)녹색 사회가는 지름길,"시민발전소"가 답이다. 관리자 2012.09.07 19137
20 (부산일보)전기 아끼면서 시원하게 여름 나려면…전기플러그 무조건 뽑아야 [1] 관리자 2012.08.03 19637
19 (부산일보)[별난 삶 별난 취미] 이상룡 사하인터넷뉴스 주필 관리자 2012.07.17 16334
18 (국제신문) 대안 공동체 '민들레 마을' -에너지 독립을 꿈꾸는 초록마을 관리자 2012.07.17 82909
17 (국제신문)[기고] 고리 원전 '대안'이 없다고? 미니 태양광발전소가 해답 /김대오 [1] 기후 2012.07.09 8835
16 (이투뉴스)부산지역 에너지절약, 시민사회 '앞장' 기후 2012.06.25 8242
15 (에너지경제)KEMCO 부산울산, 에너지 절전 시민연대 공동출범식 개최 및 거리 캠페인 활동 기후 2012.06.25 18386
14 (국제신문)"방과후 영어수업으로 환경 소중함 일깨워" file 관리자 2012.05.23 10246
13 (부산일보) 에너지절약교육 전문가 과정 file 관리자 2012.05.15 9168
12 (국제신문)부산 영도 주민, 저탄소녹색운동 활성화 file 관리자 2012.05.15 8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