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원전 방사능 사고땐 사망 최대 85만여 명"

일본 원전 사고평가 '세오코드' 시뮬레이션 결과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에서 방사능이 외부로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하면 최대 85만여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최대 628조 원의 경제적 피해가 생긴다는 모의실험 결과가 나왔다.

환경운동연합과 반핵부산대책위는 21일 고리원전1호기 방사능 누출사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고리1호기에서 체르노빌 원전 때와 같은 양의 방사능 물질이 방출되고 부산 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경우를 가정해 모의실험을 한 결과 급성 사망자가 4만 7580명에 이르고 방사능에 따른 장기적 암 사망자는 최대 85만여 명으로 예측됐다.

고리원전 인근 기장군 일광면·기장읍 주민 대다수는 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피해 예상치는 피난비용까지 포함해 최대 628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에서 원전 사고가 일어났을 경우를 가정해 발생할 경제적 피해 규모를 추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환경운동연합 측은 설명했다.

이번 결과는 박승준 일본 관서학원대학 종합정책학부 준교수와 임상혁 노동환경건강연구소장·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탈핵에너지국장이 지난 2월부터 일본의 원전 사고평가 프로그램인 세오코드(SEO code)를 한국의 핵발전소에 적용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나왔다.

연구진은 모의실험 결과 발표를 통해 "고리원전 방사능 누출사고에 대비해 신속한 피난 방재 대책이 필요하고 원전 근접 지역의 거주를 제한해야 한다"며 "피폭에 따라 장기적으로 암에 걸려 사망하는 인원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산시민까지 피난시키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국수력원자력은 "고리 영광 원전 사고피해 모의실험 결과는 국내 원전에서 전혀 발생할 가능성이 없는 무리한 상황을 가정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수원은 "국내원전은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원전과는 원자로형이 전혀 다르고 격납 건물이 훨씬 견고하기 때문에 모의실험은 국내원전에 적용할 수 없다"고 해명했다.

 

2012.5.21  정봉화 기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 기후변화는 어떻게 레스토랑의 음식 가격을 올리는가? (2016-04-21 •기후변화행동연구소) 관리자 2016.04.25 2375
49 엘런 머스크의 대담한 도전 관리자 2016.04.10 2506
48 기후변화로 음식이 사라질 수도 있다? [인포그래픽] 관리자 2016.04.25 2650
47 30세 사우디 왕자의 폭탄 선언 '석유 전쟁' 부르나(2016.4.18 조선DB) 관리자 2016.04.27 2742
46 우주에서의 879일 “남·북극의 오로라는 다르다” -kbs 관리자 2016.04.10 2743
45 바닷새 90% 배 안엔 ‘플라스틱 쓰레기’- 경향 관리자 2015.09.04 2744
44 [밥상 위의 GMO, 거부권이 없다]③ “GMO 제초제로 자폐증 아이 늘었다는 논문에 신념 바꿔”(경향) 관리자 2017.02.19 2757
43 [창간특집] 소외된 90%를 위한 '국경없는 적정기술' - [이투뉴스] 관리자 2015.09.06 2793
42 역대 최악 엘니뇨…영향도 빈부격차 뚜렷(2016. 04. 19. 한국일보 김정원 기자) 관리자 2016.04.25 2816
41 [파리 기후변화 총회 분석] 한국, 재생가능에너지 비중 1.1%... 25년간 그대로 관리자 2015.12.08 2816
40 “한국 기후변화 대응 점수는 꼴찌” -한겨레21 관리자 2015.12.05 2833
39 파리 기후총회 놀라게 한 우루과이 ‘청정에너지 혁명’ - 한겨레(2015.12.6) 관리자 2015.12.08 2838
38 알면 알수록 놀라운 독일 농촌의 '비밀' (2015 관리자 2016.01.06 2857
37 사우디 “석유중독 탈출”… 15년 경제개혁 승부수(2016.4.27 동아) 관리자 2016.04.27 2861
36 [In&Out] 미세먼지·온실가스 그리고 석탄화력발전소/김주진 기후솔루션 대표·변호사(서울신문) 관리자 2017.02.19 2865
35 여기 인류가 처한 위기를 보여주는 사진 27장이 있습니다. 관리자 2016.01.06 2901
34 새 지질시대 '인류세'에 접어든 지구의 고민- 조홍섭(물 바람 숲) 관리자 2016.01.16 2903
33 "인간 일자리 빼앗는 로봇에 세금을"‥빌 게이츠도 가세(이데일리 종합) 관리자 2017.02.19 2972
32 칠레 소방관들은 월급이 없다 - 오마이뉴스[해외리포트] 관리자 2015.10.21 3322
31 [특별기고] '이너써클'끼리의 원자력 사업에 미래는 없다 박종운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원자력·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 에너지데일리 | webmaster@energydaily.co.kr 관리자 2017.01.08 3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