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소식
동영상 URL 입력  

 wbd23_poster_en.jpg

 

520일은 UN이 지정한 세계 벌의 날(World Bee Day)입니다.

이 날, 퍼머컬처 디자인 코스(PDC)와 함께 꿀벌살리텃밭을 디자인했어요.  

 

KakaoTalk_20230520_212934137_10.jpg

KakaoTalk_20230520_213016846_01.jpg
KakaoTalk_20230520_213016846_03.jpg
KakaoTalk_20230520_213016846_05.jpg

KakaoTalk_20230520_213016846_04.jpg

 

밀가루로 도면을 옮기고 A프레임으로 수평을 잡으며 디자인을 구현했는데요.

에너지의 흐름을 관찰하고 만들어가는 작업은 많은 정성이 필요하였어요.

눈은 허브스파이럴, 입은 키홀가든, 날개는 후굴컬처!

3가지 다기능텃밭까지 결합한 꿀벌 모양 디자인 텃밭입니다.

 

허브스파이럴.jpg

허브 스파이럴키홀가든.jpg

키홀가든

후굴컬처.jpg

후굴컬처

 

55종 이상의 허브와 나무를 심었고, 90% 이상이 다년생이라 많은 탄소를 저장하게 될 거예요.

볏짚으로 멀칭해 미생물도 많이 살 것이고요.

가장자리엔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보리수와 앵두나무를 심어 작은 햇빛트랩을 만들었습니다.

 

꿀벌들이 모여들기 바라며 벌들이 좋아하는 밀원식물도 많이 심었는데요.

유엔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종의 주요 농작물 중 71종이 꿀벌의 꽃가루받이로 생산되고 있다고 합니다게다가 자가 수분이 불가능한 아몬드 나무는 꿀벌의 존재가 필수적인데요.

지구에서 꿀벌이 사라진다면 4년 안에 인류도 사라진다.”는 말처럼하나의 생명이 지구에서 사라진다는 건 슬프고도 무서운 일입니다.

 

KakaoTalk_20230520_213016846_16.jpg

KakaoTalk_20230520_213016846_19.jpg

KakaoTalk_20230520_213016846_26.jpg

KakaoTalk_20230520_213016846_24.jpg

 

아름다운 꿀벌살리 텃밭이 오래오래 이 곳에 있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스스로 자라고 서로 돌보며, 자신의 진정한 모습에 가까이 가도록이요.

 


 

5월_단체사진_1.jpg

▲꿀벌살리 텃밭으로 태어나기 

5월_단체사진_2.jpg

꿀벌살리 텃밭으로 다시 태어난 후, 완성!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 2024년도 정기 이사회를 개최하였습니다. file 관리자 2024.01.24 23
49 2024년에도 환경교육 강사단 스터디는 계속됩니다. file 관리자 2024.01.24 40
48 3월 짚풀공예 프로그램 「다시 엮는 사람들」: 1-2회차 이야기 file 관리자 2024.03.20 70
47 3월 짚풀공예 프로그램 「다시 엮는 사람들」: 3-4회차 이야기 file 관리자 2024.04.01 38
46 4월 천연염색 프로그램 「봄날 물들이다」: 1-2회차 이야기 file 관리자 2024.04.25 35
45 4월 천연염색 프로그램 「봄날 물들이다」: 3-4회차 이야기 file 관리자 2024.05.13 35
44 9.24 기후정의행동 file 관리자 2022.10.05 115
43 NO CO2 FESTIVAL (모두가 함께 즐기는 에코축제) file 관리자 2012.11.26 12161
42 ‘가자GO! 탄소중립! 어린이 기후용사대’ 에너지절약 운동에 함께합니다! file 관리자 2023.04.18 78
41 ☆5/7(월) 녹색생활실천 학교만들기 캠페인☆ file 관리자 2012.05.15 19160
40 금샘초등학교 어린이 기후용사대 : 1-2학년 이야기 file 관리자 2023.06.09 75
39 금샘초등학교 어린이 기후용사대 : 5-6학년 이야기 file 관리자 2023.04.20 117
38 금샘초등학교에서 '탄소발자국 일일캠프'가 열렸습니다! file 관리자 2023.09.08 80
37 기후변화시대의 에너지자립 마을학교( 1강~ 5강) 생태탐방까지 마치고~~ file 관리자 2016.11.20 3323
» 꿀벌의 날에 꿀벌살리 텃밭을 만들었습니다. file 관리자 2023.06.18 112
35 도시농부들의 나눔장터 도시농부장터가 열렸습니다. file 관리자 2013.11.18 8292
34 부산광역시교육청과 함께 학리기후변화교육센터를 공동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관리자 2017.04.23 2367
33 부산환경공단 시설투어 file 관리자 2012.05.15 12115
32 서구 그린스타트 한마당 행사 file 관리자 2015.10.26 3014
31 신평현대아파트 에너지절약 100만 가구 운동 관리자 2018.08.24 597